인사말

소개

- 창립목적 및 활동 - BI
후원개요

공지사항 협회소식

Driver

- Race Driver - Kart Driver
Race Offcial Team Promoter/Organizer Racing School

국내현황

- 공인대회 - 공인서킷 - 공인주최자 - 공인팀 - 공인레이싱스쿨
뉴스레터

FAQ CONTACT

HOME > LICENCE > Driver > Kart Driver

(사)대한자동차경주협회(KARA)는 국제자동차연맹(FIA) 및 국제카트연맹(CIK-FIA) 국제카트스포츠규정과 KARA 자동차경기국내규정에 의거하여 카트 선수 라이선스를 구분하고 국내 및 국제 경기 참가 자격을 부여한다.

카트 선수 라이선스 분류
국내/국제 카트 선수 라이선스 신청 방법(발급 수수료)
국내 카트 선수의 해외/국제 경기 참가하기
국외 카트 선수의 국내 경기 참가하기
Tip 초보 카트드라이버로 시작하기!
카트 선수 라이선스 분류
TOP

대한자동차경주협회(KARA)가 발급하는 카트 선수 라이선스는 국제 카트 선수 라이선스, 국내 카트 선수 라이선스로 분류하며, 만 7세 이상부터 신청 가능하다.

국내 카트 선수 라이선스 승급 단계

KARA 국제 카트 선수 라이선스 등급, 신청 조건 및 승급 자격
카트의 국제 선수 라이선스는 국제자동차연맹(FIA) 및 국제카트연맹(CIK-FIA) 국제카트스포츠규정과 KARA 자동차경기국내규정에 의거하여 KARA가 발급한다.

구분 등급 조건
카트
Kart
국내
National
A KARA 카트 국내 B 라이선스 소지자 중
① 승급 신청 전 24개월 내에 KARA가 공인한 경기(카트 국내 B 소지 경기)에서 3회 이상 출전하여 공식 기록을 인정받은 자
② 해당기간 참가대회에서 상위 33% 이상을 기록한자.
B KARA 카트 국내 C 라이선스 소지자 중
① 승급 신청 전 24개월 내에 KARA가 공인한 경기(카트 국내 C 소지 경기)에서 3회 이상 출전하여 공식 기록을 인정받은 자. ② KARA의 카트 교육을 수료한자.
③ KARA에 등록된 카트팀에서 교육을 받은 자.
C 만 11세 이상부터 신청 가능하고 교육 수료증을 제출하여야 한다.
① KARA의 카트 교육을 수료한자.
② KARA에 등록된 카트팀에서 교육을 받은 자.
D 만7세 이상부터 신청 가능하고 교육 수료증을 제출하여야 한다.
① KARA의 카트 교육을 수료한자.
② KARA에 등록된 카트팀에서 교육을 받은 자.
① 해외 ASN의 라이선스 소지 경험이 있거나 해외레이싱 스쿨을 수료한 사람이 KARA 선수 라이선스의 취득을 원할 경우 자신이 활동한 경력증명서 또는 해외 ASN 라이선스 사본이나 해외레이싱 스쿨 수료증 등 해당 입증 자료를 첨부하여야 함. 

※ KARA 국내 카트 선수 라이선스의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1년이며, 국제 카트 선수 라이선스의 유효기간은 당해 연도 12월 31일까지이다. 한시적 라이선스 발급의 경우 별도 유효기간이 명시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KARA 자동차경기국내규정집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내 카트 선수 라이선스 신청방법
TOP

KARA 온라인사이트를 통하여 간편하게 신청 가능.
KARA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접속(PC에서만 가능) > 로그인(처음이신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 라이선스 > 라이선스 신청 및 관리 > 라이선스 종류 선택 > 필수항목 입력 완료 후 ‘신청하기’ > KARA 서류심사 > KARA 안내메세지 발송 > 발급 수수료 결제 > 라이선스 발급 완료

※ 회원가입 시 증명사진(JPG, JPEG, GIF, PNG 파일)과 거주지 도로명주소가 필요하다.
*KARA 서류심사 완료 메시지를 받고 발급 수수료 결제를 완료하셔야 라이선스가 발급되며, 라이선스는 입금 확인 후 7일 이내에 발송 됩니다.

필요서류

성인 : 공인팀 추천서, 운전면허증 사본
미성년자: 공인팀 추천서, 보호자 동의서
※해외 ASN의 라이선스 소지 경험이 있거나 해외 레이싱스쿨을 수료한 사람이 KARA 카트 선수 라이선스의 취득을 원할 경우 자신이 활동한 경력증명서 또는 해외 ASN 카트 선수 라이선스 사본이나 해외 레이싱스쿨 수료증 등 해당 입증 자료를 첨부.

국제 카트 선수 라이선스 신청방법
TOP

KARA 온라인사이트를 통하여 간편하게 신청 가능.
KARA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접속(PC에서만 가능) > 로그인(처음이신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 라이선스 > 라이선스 신청 및 관리 > 라이선스 종류 선택 > 필수항목 입력 완료 후 ‘신청하기’ > KARA 서류심사 > KARA 안내메세지 발송 > 발급 수수료 결제 > 라이선스 발급 완료 필요서류

(신규)
성인: 선수등록신청서, 공인팀 추천서, 운전면허증 사본, 건강진단서(신체검사서), 심전도 검사항목 추가
미성년자: 선수등록신청서, 공인팀 추천서, 보호자 동의서, 건강진단서(신체검사서), 심전도 검사항목 추가

(갱신)
성인: 선수등록신청서, 운전면허증 사본, 전년도 라이선스 사본, 건강진단서(신체검사서) 미성년자: 선수등록신청서, 보호자 동의서, 전년도 라이선스 사본, 건강진단서(신체검사서)

발급 수수료

구분 등급 금액(원)
카트
Kart
국제
International
A 530,000
B 330,000
C 230,000
국내
National
A 80,000
B 60,000
C 40,000
D 20,000
국내 카트 선수의 해외/국제 경기 참가하기
TOP

해외/국제 경기 참가를 위해서는 반드시 국제 카트 선수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며, KARA가 발급한 국제 카트 선수 라이선스 소지자는 해외/국제 경기에 참가할 경우 반드시 KARA 사무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참가 희망 경기 규정 확인→ KARA 사무국 승인 절차 진행(필요서류 제출 등) -> KARA 발급 서류 전달 → 경기 참가 -> 경기 결과 전달
※드라이버는 해외/국제 경기 참가 후 경기 결과를 반드시 KARA에 보고해야 한다.

필요서류

- 국제라이선스
- 메디컬카드(해외/국제 경기 출전 승인 시 KARA 발급)
- 경기참가비자(해외/국제 경기 출전 승인 시 KARA 발급)

KARA 승인을 위한 필요 제출 서류

- 해외/국제 경기 참가신청서 사본 - 사진, 영문주소, 여권영어이름, 건강진단서(신체검사서) 포함
- 해외/국제 경기 규정 및 라이선스 등급 정보
- 해외/국제경기 참가 라운드별 날짜, 참가클래스, 개최 국가 및 개최 장소(정식 서킷 명칭)

Tip 초보 카트 드라이버 시작하기!
TOP

카트는 유치원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어렵지 않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 만11세 이상으로 단순히 레저 카트를 즐기는 수준에 머물지 않고 모터스포츠 세계에 카트 선수로 입문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첫째, 레저 카트 체험

가까운 카트 체험장을 방문하여 놀이기구를 이용하듯 카트를 이용할 수 있다.
@ 국내 카트 체험장 현황
파주카트스피드 파크 (경기 파주), 031)959-0420, http://www.pspark.co.kr
잠실 카트 체험장 (서울 잠실), 02)420-3886, http://www.birel.kr/
헤이리 카트랜드 (경기 파주), 031)944-9736, http://www.kartland.co.kr
KIC카트장(전남 영암), 070-4227-7788, http://koreacircuit.kr/

둘째, 카트로 모터스포츠 세계 입문

체계적으로 카트 선수가 되고 싶다면 공인 카트팀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팀에서 교육하는 내용과 연습시간, 카트 이용료 등은 각 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각 팀에 문의하시어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연습 방법, 교육 방법, 비용 등을 확인하여 주세요.
KARA 등록 카트팀 현황은 Archives > 국내현황 > 공인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셋째, 카트 선수 라이선스 취득

선수라이선스 취득 절차를 밟는다.

넷째, 카트 경기 출전 신청

각 대회 웹사이트를 통해 카트 경기 운영 규정 및 클래스 별 기술규정 숙지, 경기 일정 및 장소 확인 후 온라인 신청을 한다.

다섯째, 개인 안전 장구 준비

레이싱 헬멧, 레이싱 슈즈, 레이싱 글러브, 레이싱 슈트, 한스[FIA 인증] 착용은 기본!

여섯째, 규정 확인

각 경기 별 참가 카트 선수 라이선스 등급 확인 및 운영 규정, 차량 규정은 각 대회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한다.